
오늘은 실업인정 대상기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인정 대상기간 실업인정 대상기간이란 재취업활동, 즉 구직활동을 할 수 있는 기간을 말하는데요. 대상기간은 대기기간( 수급자격 신청일로부터 7일간)이 끝날 다음날부터 시작됩니다. 지난번 실업인정일의 다음 날부터 이번 실업인정일 당일까지 구직활동이 가능한 기간이 됩니다. 예를 들어 지난 번 실업인정일이 5월 3일이고 이번 실업인정일이 5월 31일이면, 대상기간은 5월 4일부터 5월 31일이 됩니다. 4일-31일까지 총 28일 간 구직활동이 가능합니다. 재취업활동은 꼭 실업인정 대상기간 안에 하셔야 합니다. 그 외의 날짜나 수급 만료일이 지나고 한 구직활동은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구직급여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수급만료일 5월 25일 ..

오늘은 기초생활 수급자 자격요건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기초생활수급제도는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국민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부는 1997년 국민기초 생활 보장법을 제정해 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2015년 개정을 통해 필요한 부분에 따라 맞춤형 급여로 나뉘게 되면서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4가지 형태로 지급되게 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기초생활수급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가구의 소득과 자산이 일정 기준이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준은 기준중위소득인데요. 기준중위소득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의결,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윗값을 말합니다. 이는 정부의 복지정책 대상자 기준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실업급여 반복수급자 일반수급자 장기수급자가 무엇 인지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실업급여 반복수급자 실업급여를 받게 되면 먼저 수급자 유형을 구분하게 되는데요. 일반수급자, 반복수급자, 장기수급자, 장애인 및 만 60세 이상으로 실업인정 유형을 구분합니다. 본인이 어떤 유형이냐에 따라 실업인정을 받을 수 있는 구직활동 범위와 횟수가 달라집니다. 수급자가 발급받는 수급자격증을 확인해 보시면 본인이 어떤 유형인지 알 수 있습니다. ✅ 일반 수급자 일반 수급자 유형은 소정급여일수가 180일 이하인 수급자를 말합니다. 여기서 소정급여일수는 피보험기간과 연령에 따라 달라지며 각 경우에 따른 소정급여일수는 아래에 정리해 놓았습니다. 소정급여일수 오늘은 소정급여일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정급여일수란?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