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퇴 시기가 다가올수록 기초연금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까지 쉽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4년 부부의 경우 최대 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같이 살펴보시죠 목차 기초연금 수급자격 ✔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어르신들의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해서 일정 소득을 매달 지급하는 연금을 말합니다. 노후 빈곤의 문제를 완화하고, 젊은 세대의 부담을 덜기 위해 도입된 제도라고 하네요. ✔ 기초연금 대상자 기초연금은 아래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분들이 받을 수 있습니다. 1. 연령이 만 65세 이상 2. 대한민국 국적 보유 3. 국내에 거주해야 합니다. 4. 소득인정액이 기준액 이하 일 것 ✅ 기초연금 소득기준 앞서 말했듯 기초연금은 소득기..

오늘은 2024년 기준중위소득과 중위소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한 국가의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줄을 세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중에서 정확하게 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즉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봤을 때, 50번째 사람의 소득이 바로 중위소득입니다. 양 극단의 값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평균 가구의 경제를 더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습니다. ✅ 기준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에서 복지지원정책의 수급자를 선정할 때, 활용되는 지표입니다. 매년 고시되는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해서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 급여, 교육급여 등의 지원정책 수급자를 선정합니다. 또한 2023년도에 비해서 2024년 기준중위소득이 올랐다고 합니다. 6%에서 7% 정도 상향되..

오늘은 주거급여 신청자격과 지원금액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2024 주거급여 주거급여는 저소득층의 주거 부담을 덜고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거주 지역과 가구 인원수에 따르지만 4인가구 기준 최대 5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는 월세 비용 및 수리비용을 지원해주는데요. 자세한 신청자격과 금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주거급여 신청자격 주거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일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47%보다 1% 높은 48%까지 해당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해당할 수 있습니다. 부양의무자 기준이나, 재산기준은 없습니다만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하여 소득인정액에 포함시킵니다.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 환산액 이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